삼성SDI 주가 및 전망(2차전지 관련주, 매수 후기)
우리나라가 반도체, 조선업 이후에 나라를 먹여 살릴 산업을 꼽자면 2차 전지 및 전기차, 바이오산업을 말하고 있다. 2차 전지 제조 및 소재를 만드는 회사는 정말 많고, 현재 세계 시장을 주름 잡고 있는 기업들도 있다. 오늘은 2차 전지 제조 회사 삼성SDI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삼성SDI는 크게 소형전지, 중/대형 전지를 생산/판매하는 사업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판매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회사이다. 삼성SDI의 주가 상승 요인은 바로 '에너지솔루션'사업때문이다.
삼성SDI 주가 흐름 및 전망 |
삼성SDI의 주가는 코로나19 때 주당 18만 원까지 하락했으나, 향후 사업성과 2차 전지에 대한 기대감으로 현재는 80만 원까지 상승하며 주주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고 있고, 삼성SDI에 못 탄 투자자들은 조정을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다. 주가는 계속 우상향하고 있으며 시가 총액은 55조, 코스피 6위를 기록하고 있다. 도대체 2차전지가 무엇이길래 삼성SDI를 비롯한 2차전지 주가가 크게 상승하는 것일까?
2차 전지는 전기 자동차를 만들기 위한 핵심 부품으로 2차 전지로 자동차의 성능 및 가격이 결정되는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석유가 아직도 많이 나오고 있고, 국내에서는 전기차 오너들을 찾기 힘들어서 2차 전지를 대수롭게 생각 안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전기차 시장은 앞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고, 우리가 운전하고 있는 내연기관차들은 점차 사라질 것이다. 현재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2025년에 주요 도시에 내연기관차들의 출입을 금지시킬 예정이고 2030년까지 다른 도시들까지 내연기관차의 출입을 금지 시킬 예정이다.
국가기 직접 내연기관차에 제재를 가하고 있어 포르쉐, 테슬라, 아우디, BMW, 현대, 기아 등 많은 자동차 회사들은 어쩔 수 없이 전기차를 생산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자동차 회사들은 엔진 및 자율 주행 관련한 기술들은 있지만 2차 전지에 대한 기술은 없어 무조건적으로 삼성SDI를 비롯한 제조 업체에 공급을 받아야 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덕분에 2차 전지 관련 주들은 미래성이 있고, 사람들의 기대감으로 인해 주가가 우상향하고 있다.
삼성SDI는 매출액과 영업 이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EV 배터리 산업이 흑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져서 KB금융(목표주가 95만 원)을 비롯한 금융사들의 목표주가가 지속적으로 상향 조정되고 있다. 그리고 테슬라에게 에너지 저장 장치 ESS를 공급하는 등 다른 사업에도 호재가 지속되고 있다.
현재 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 2차 전지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제작하고 있는 상황이고, SK 이노베이션은 리튬이온 배터리를 만드는 공장을 증설하고 있으며, 수주를 따내고 있지만 삼성SDI는 리튬이온 배터리에 대규모 투자는 없지만 리튬이온 배터리의 차세대 모델 '전고체배터리'에 대한 기술력이 독보적으로 평가받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배터리 사이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있는 전해질이 고체로 된 배터리로 화재 위험성이 낮아져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2차 전지에 대한 세계적인 수요와 삼성SDI의 기술력을 봤을때 이 회사는 우상향할 것이라고 봐야할것 같다. 하지만 주식이 현재 영업 이익 대비 주가(PER)가 275.5배 고평가 받고 있다는 점은 투자 이전에 체크해야 할 부분인 것 같다.
매수 후기 |
나는 삼성SDI를 한 주당 671,000에 매수하여 현재 20% 정도의 수익을 내고 있다. 조정을 받으면서 손익률이 7%까지 내려간 적이 있지만 내가 산 주식에 대한 공부와 믿음으로 조정 기간에 멘탈을 잡으면서 버틸 수 있던 것 같다. 어떤 종목을 매수하던 투자에 대한 믿음, 멘탈 관리가 중요한 것 같다. 이 글을 읽으시는 투자자분들도 성투!!하길 바란다.